반응형

과학책 5

이기적 유전자 - 리처드 도킨스 | 생명을 진화시킨 유일한 존재, 유전자에 대한 이야기

이기적 유전자1976년, 처음 출간되었을 당시 과학계와 일반 대중들에게 폭발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세기의 문제작으로 떠오른 『이기적 유전자』는 40년이라는 세월의 검증을 거치며 그 중요성과 깊이를 더욱더 확고하게 인정받았고, 2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젊은이들이 꼭 읽어야 할 과학계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새로운 디자인과 휴대하기 좋은 판형으로 갈아 입은 이번 40주년 기념판에 새롭게 수록된 에필로그에서 저자는 여전히 ‘이기적 유전자’라는 개념이 갖고저자리처드 도킨스출판을유문화사출판일2023.01.30 이기적 유전자저자 리처드 도킨스을유문화사2018-10-20원제 : The Selfish Gene (1976년)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책 소개 『이기적 유전자』는 진화론의 지형..

모든도서리뷰 2025.06.24

간밤에 읽은 책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을 쓸 때 “손에 쥔 펜이 저절로 움직이는 것 같았다”고 했던 것이나 지드래곤이 〈This love〉를 작사하는 데 20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며 스스로 놀라움을 표현한 일 모두, 그 중심에는 ‘무의식’이 있다.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는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로 다시 한번 국내에 이름을 알린 신경과학자 데이비드 이글먼의 초기 연구서다. 2011년 출간 이후 10여 년이 지났지만 책이 주는 메시지는 유효하다. 뇌는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저자데이비드 이글먼출판알에이치코리아출판일2024.11.22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저자 데이비드 이글먼알에이치코리아(RHK)2024-11-22원제 : Incognito (2011년)과학 > 뇌과학인문학 > 심리학/정..

간밤에읽은책 2025.02.12

삶을 지탱하는 근육의 모든 것을 담았다, 우리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우리는 어떻게 움직이는가저자 로이 밀스해나무2024-11-30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원제 : Muscle: The Gripping Story of Strength and Movement (2023년)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근육입니다.걷고 뛰는 것 뿐만 아니라 호흡하고 소화하고 심지어 혈액을 운반하는 과정도 근육이 관여하기 때문이죠.또한 많은 비밀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슬슬 근육에 관한 궁금증이 생겨나기 시작하시죠? 오늘은 근육에 관한 모든 궁금증을 풀어줄 책 한 권을 소개하려고 합니다.『우리는 어떻게 움직이는가』는 정형외과 의사가 들려주는 근육에 대한 강의로 인체 해부학의 기원부터 근력운동에 관한 내용까지 근육의 모든 것을 담아내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의학 분야는 해부학입니..

모든도서리뷰 2024.12.23

공생하고 공격하며 공진화해 온 인류와 미생물의 역사, 역사가 묻고 미생물이 답하다

역사가 묻고 미생물이 답하다저자 고관수지상의책(갈매나무)2024-09-13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과학 > 기초과학 / 교양과학    인간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했고 인간의 멸종 이후에도 살아남을 것만 같은 유일한 존재는 과연 무엇일까요?지구에 최초로 나타난 생명체는 다름아닌 미생물입니다.이미 인류 등장 전부터 존재했을 미생물은 갓 400년이 되어서야 현미경을 통해 그 존재를 알리게 됩니다.자세히 알지 못했을 뿐, 미생물은 그 영향력이 매우 지대하죠.『역사가 묻고 미생물이 답하다』는 인류 진화에 함께 했던 미생물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세균이 무너뜨렸던 최초의 민주주의, 면역 전쟁이라 불리웠던 콜럼버스의 교환, 산업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을 휩쓸었던 팬데믹, 포스트 항생제 시대에서 공존해야 하는 ..

모든도서리뷰 2024.09.22

간밤에 읽은 책 | 역사가 묻고 미생물이 답하다

역사가 묻고 미생물이 답하다저자 고관수지상의책(갈매나무)2024-09-13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과학 > 기초과학 / 교양과학    포도주는 몹시 지혜로운 사람에게도 마구 노래하라고, 실없이 웃으라고 부추기고, 춤을 추라며 일으켜 세우기도 하잖아요. 심지어 하지 않아야 더 좋았을 말을 내뱉게도 합니다._호메로스, 《오뒷세이아》  자연 상태에서 효모는 당분이 풍부한 과일의 표면에 산다. 포도의 표면을 하얗게 덮고 살아갈 정도로 포도 껍질을 좋아한다. 포도 껍질에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포도당이 넘쳐나기에 여기에 사는 효모는 대사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효소가 필요한 호흡 대신 빨리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발효를 선택한다. 굳이 에너지 효율을 고민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효모는 살아가는 ..

간밤에읽은책 2024.09.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