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라와 태양 | 간밤에 읽은 책, 오늘 새벽엔 이 문장이 남았다
클라라와 태양
저자 가즈오 이시구로
민음사
2021-03-29
원제 : KLARA and the SUN
소설 > 영미소설
태양이 가진 특별한 힘을 믿습니다.
■ 끌림의 이유
말을 하는 장난감과 아픈 아이의 만남을 꼭 그려보고 싶었다는 저자는 마침내 『클라라와 태양』이라는 소설을 선보였습니다.
인간성과 비인간성 사이의 경계를 섬세히 묘사하고 있어 클라라의 시선으로 보는 세상은 참으로 투명하고도 맑습니다.
뭐랄까, 인위적인 사랑조차도 진실처럼 느껴집니다.
■ 간밤의 단상
출간하자마자 읽었던 『클라라와 태양』을 4년 만에 읽어보았습니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선 떠오른 생각은 하나였습니다.
'역시 재독을 해야 돼.'
로봇은 많은 일을 해낼 수 있지만 그들이 할 수 없는 단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인간과의 진정한 접촉을 경험하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로봇에게 있어서 진정한 감정 공유는 불가한 것일까요?
이번에도 역시나 로빈 윌리엄스의 「Bicentennial Man 바이센테니얼 맨」이 자연스레 떠올랐습니다.
〔기계로서 영원히 사느니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죽고 싶습니다.〕
4년 전의 인공지능과 지금의 인공지능의 차이는 매우 크게 대비됩니다.
「바이센테니얼맨」과 『클라라와 태양』을 보면서 언젠가 일부 로봇이 진심으로 감정을 느끼고 인간과 교류하게 될 수도 있겠다는 희망과 두려움이 동시에 공존하기도 합니다.
이른 새벽, 클라라의 시선으로 세상을 다시 보았습니다.
그녀에게 태양은 신과 같았고 존재로 인정받고 싶다는 그 욕망은 슬프면서도 의미 있게 느껴졌습니다.
창백한 얼굴, 마른 몸 그리고 일반적인 사람들과는 미묘하게 다른 걸음걸이, 그것이 클라라가 처음 마주한 조시의 모습이었습니다.
클라라는 다른 로봇들과 달리 에너지원을 태양광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그래서인지 관찰력 뿐만 아니라 공감능력까지 뛰어나 다들 클라라를 조금은 특별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그렇게 조시와 함께 하게 된 클라라지만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약했던 조시의 몸이 점점 약해지고 있었습니다.
그런 조시의 모습을 보며 클라라는 자신이 햇빛으로 에너지를 충당하는 것처럼 조시에게도 햇빛을 주고 싶어합니다.
여기서 태양의 힘을 빌려 조지를 살리겠다는 클라라의 순수한 헌신은 꼭 제 안의 작은 결심과도 닮아 있다고 느꼈습니다.
태양을 신으로 믿는 클라라의 투명한 순수함은 인간의 흔들리는 믿음과 대조될 만큼 깊은 울림을 안겨 주었습니다.
어쩌면 모두가 클라라처럼 누군가를 위해 조용히라도 살아 주고 싶다고 생각하는 존재인 것 같았습니다.
■ 건넴의 대상
철학적인 SF 소설에 관심있는 분에게
인공지능과 인간성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좋아하는 분에게
♥
이 책을 읽고 마음에 남은 문장이나 순간이 있다면 공감(♥)과 댓글로 나눠주세요.
당신의 감상이 더해지면 이 공간은 조금 더 깊고 따뜻해질 거예요.